고영민 시인의 시작법 고영민 시인 1968년 충남 서산출생 중앙대학교 문창과 졸업 2002년 <문학사상>으로 등단 2005년 시집 <악어> 실천문학사 2009년 <공손한 손> 창비 [고영민 시인의 시작 방법] 1. 자기의 핵심역량을 찾아라! 누구나 가장 잘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걸 찾으면 됩니다. 남을 따라하면 절.. 문학이론 2012.04.10
현실의식과 낭만적 시세계 문숙 현실의식과 낭만적 시세계 ― 하종오 『입국자들』, 산지니, 2009. ― 박주택 『시간의 동공』, 문학과지성사, 2009. 오늘날 우리 사회는 뚜렷한 이데올로기가 사라지고 거대담론이 없는 시대라고 한다. 그러나 지구촌 시대를 살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적 울타리를 국가로 한정.. 문학이론 2012.02.17
시 속에 드러나는 자기 목적성을 중심으로 시 속에 드러나는 자기 목적성을 중심으로/ 강영은 현대시 창작의 방법이 보여주는 모호함은 세계와 사물에 대해 스스로의 실존적 가치가 결여된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다. 존재의 조건을 드러낸다는 것은 전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존재의 본질적인 속.. 문학이론 2012.02.17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인간의 정서 가운데 사랑만큼 마음을 설레게 하는 단어도 없다. 아담과 이브의 사랑에서 보듯 인류 최초의 사건도 사랑이었다. 그렇기에 사랑은 어쩌면 인간이 태어나서 느끼는 감각 가운데 첫 번째 놓인다.. 문학이론 2012.02.16
떠도는 실제, 매혹하는 언어 우리 詩의 현장 ㅡ『시를 사랑하는 사람들』2010년 7~8월호, 떠도는 실재, 매혹하는 언어/ 김문주 (평론가, 영남대 교수) 1. 근래 한국 시단은 심미성의 폭발적인 분화를 경험하고 있다. 다양한 미적 분광을 보여주는 오늘의 우리시는 종전의 시적 관성을 전복하면서 새로운 시의 영.. 문학이론 2012.02.16
진실한가. 독창적인가 진실한가? 독창적인가? 복효근 누군가로부터 시집을 받으면 꼼꼼하게 읽어보는 편이다. 금방 읽지는 아니하더라도 시간을 두고라도 비교적 전편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시 한 편이 쓰여지고 시집 한 편이 묶여 나오기까지의 고뇌와 수고로움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가도(77.. 문학이론 2012.02.16
시와 시인 , 그리고 독자 시와 시인, 그리고 독자들 / 박제천 시란 무엇인가. 여기 대해서는 역사 이래로 수많은 답이 마련돼 있다. 그 답안을 읽는 일은 어찌 보면 시문학사 전체를 섭렵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인된 자는 거의 누구나 이 질문에 매력을 갖고, 자문자답해 보기 때문이다. 하늘의 성좌도.. 문학이론 2012.02.16
환유적으로 시 쓰기 3) 환유적으로 시쓰기 자아 이제 서정적 줄거리를 완성했으니 환유적 어법으로 시를 써보기로 할까요? 지금 쓰자면 ‘나중에 쓰지요’라고 말할 테니까 저랑 함께 써보기로 합시다. 어떤 것을 쓸까요? 앞에서 시인이 직접 나서서 이야기하는 1인칭 화제로 쓴 경우는 예문을 통해 .. 문학이론 2012.02.16
환유적으로 말하기 ② 어떤 어법으로 말할까 1. 환유적으로 말하기 우리는 흔히 시는 <비유적(比喩的) 어법>으로만 말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대 이전까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환유적(換喩的) 어법>으로 쓰여진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독자들도 이런 시가 .. 문학이론 2012.02.16
황홀한 교감의 시를 꿈꾸며 황홀한 교감의 詩’를 꿈꾸며 박 완 호 1. 내가 지금까지 고민해 온 것은 일반적 의미에서의 ‘시란 무엇인가?’하는 문제보다는,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시를 처음 만났던 순간 내가 서 있던, 모성의 상실이라는 상황 때문일 것이다. 부끄럽게도 나는 아.. 문학이론 201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