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 - 이미지의 안과 밖 흰뫼문학 세미나 자료 ( 2013. 8. 1 ) 형상 - 이미지의 안과 밖 *** 주제 발표해 주신 김상환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하나. 감각과 사유 ` 시인은 명제가 아니라 형상으로 말한다' 러시아 문예 비평가 비가리온 밸렌스키(1811~1848)의 이 말은 사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통용되어 시인은 형상과.. 문학이론 2013.08.07
[스크랩] 우계 성혼(牛溪 成渾) 파산서원에서 화석정, 조선성리학의 절정. 우계에서 율곡까지 장파리와 임진강 사이에는 37번 국도가 곧게 뚫려서 도로위에서도 임진강을 감상할 수 있다. 강변도로는 임진리까지 쭉 이어지는데 눌로천이 합류하는 교량위에서는 석벽을 따라 화석정까지 길게 흘러내리는 물길이 한눈에 .. 문학이론 2013.08.06
계관시인 계관시인 영국에서 뛰어난 시인에게 수여한 칭호. 이 칭호를 받은 사람은 영국 왕실에서 봉급을 받지만, 후에 직책에 따르는 시인으로서의 특정한 의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 직책은 그것이 계속 계승된다는 점이 주목을 끈다. 계관시인이라는 직책은 1616년 제임스 1세가 벤 존슨에게 연금을 준 데서 시작되었으며, 1630년에 찰스 1세는 연금 지불을 승인하고 연금 액수를 늘렸다. 또 1630년부터는 '카나리아 제도산 포도주 술통'이 해마다 추가로 주어졌지만, 1790년 계관시인이 된 헨리 제임스 파이가 포도주 대신 돈으로 받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런 관행은 중단되었다. 존슨이 연금을 받은 것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인으로서 국왕에게 봉사한 공로를 인정받고 계속 봉사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1637년에 존.. 문학이론 2013.02.18
문학 용어 문학 용어 ■ 가면극(假面劇) :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정교한 형식을 지닌 궁정 오락으로서 시극 음악 무용 화려한 의상 무대 장관으로 구성. ■ 가전(假傳) :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체로 서술한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로 고려 중기 이후 성행된 문학 형식으로 실재했던 인물의 생애.. 문학이론 2012.09.19
순우리말 사전 순우리말 사전 ㄱ ●가납사니 : ①쓸데없는 말을 잘하는 사람. ②말다툼을 잘하는 사람. ●가년스럽다 : 몹시 궁상스러워 보이다. cf)가린스럽다 : 몹시 인색하다. ●가늠 : ①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리는 기준. ②일이 되어 가는 형편. ●가루다 : 자리를 나란히 함께 하다. 맞서.. 문학이론 2012.05.15
감각적인 시를 위하여 감각적인 시를 위하여 고 성 만(시인) 1. 시각 사물을 본다는 행위는 언어보다 선행한다. 어린이는 말할 수 있기 전에 사물을 보며 인식하게 된다(존 버거, 『이미지』). 본다는 것은 무엇보다 가장 우선하는 감각이다. 사람은 보기를 원한다. 보는 것에 대한 배고픔은 끊임없다. 그래서 영.. 문학이론 2012.04.10
현존과 부재의 틈에 관한 은유 현존과 부재의 틈에 관한 은유 염 창 권 (시인·광주교육대학교 교수) 복효근,「 어떤 종이컵에 대한 관찰 기록」(《시와시학》, 2010년 여름호) 정일근,「 차라투스트라를 기다리며」(《문학들》, 2010년 여름호) 박해림,「 발」(《우리詩》, 2010년 8월호) 신현락,「 은유의 다리」(《우리詩.. 문학이론 2012.04.10
미세한 시인의 눈 전자현미경보다 미세한 시인의 눈 제2의 현실, 뮤즈가 선사한 ‘느린 걸음’ 허만하 시인은 새벽 2시 30분이면 어김없이 눈을 뜬다. 네 살배기 손주 녀석조차 조용한 시간이다. 그 고요함 속에서 글을 쓰고 책을 읽는다. 의과대학생이었던 시절부터 몸에 밴 버릇이다. 저녁에는 항상 10시쯤.. 문학이론 2012.04.10
해석하는 주체에서 반응하는 신체로 「해석하는 주체에서 반응하는 신체로」 장은수|문학평론가 지금 한국시는 한낮의 언어로 씌어지고 있다. 세계의 질서와 자아의 구조가 서로를 닮으려 하면서 빚어낸 서정적 환각은 거의 종말을 고했다. 동시에 시를 통해 나쁜 세계를 성찰하고 미래를 계획해 보려는 서사적 기획도 막.. 문학이론 2012.04.10
시 창작 초기에 고쳐야할 표현들 시 창작 초기에 고쳐야 할 표현들 도종환 1. 피상적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 모습을 살펴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때가 있다. 화폭에 산, 나무 들, 꽃, 하늘, 사람의 밑그림을 연필로 그려놓고, 나무는 고동색, 나뭇잎은 초록색, 하늘은 푸른색 이런 식으로 화폭.. 문학이론 201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