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법 총정리
<Ⅰ> 비유법(比喩法)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이를 곧바로 말하지 않고, 그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다른 현상이나 사실을 끌어대어 표현하는 법.
1. 직유법(直喩法)
<같이, 처럼, 듯이, 양> 등의 말이 뒤따르거나, <예컨대, 마치> 따위의 말을 앞에 놓아 또는 하는 식의 비유.
·꽃 같이 아름다운 소녀
·보름달 같은 얼굴
·유수(流水) 같은 세월
·푸른 하늘이 홑이불처럼 이 골목을 덮어……
·먹물을 끼얹은 듯 검은 하늘에……
·묵은 역사처럼 밤이 내리면, 나의 밤은 가라앉은 잠수함
처럼 고요하다.
· 인생은 배우와 같다.
· 물 퍼붓듯 쏟아지는 비……
·소마냥 느린 걸음
·정신이 은화(銀貨)처럼 맑다.
·정자의 얼굴이 달덩이같이 피었다.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 <꽃 같은 미인이다>
꽃 : 비유의 대상 - '보조 관념'
미인 : 말하려는 사실. '원관념'
꽃과 미인에는 공통점이 있어야 한다. - '아름다움'
* <그 여자는 돼지 같은 미인이다> - (×)
2. 은유법(隱喩法)
가 아니라, 와 같이 비유하는 말과 비유되는 말을 동일한 것으로 단언하듯 표현하는 법.
·인생은 나그네다.
·소년은 나라의 꽃이다.(소년〓꽃)
·호수는 커다란 비취, 물 담은 하늘
·내 마음은 호수.
·간디는 인도 국민에게 빛을 준 큰 별이었다.
·백설의 피부, 밤의 장막
·웅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계절의 여왕 오월의 여신(女神)이여 !
·마음의 거울에 비추어 보라.
3. 의인법(擬人法)
사람 아닌 동물이나 자연을 사람인 듯 표현하는 법
·매미가 하품을 한다.
·굽어보는 달님
·성난 파도
·오월 햇빛 아래 얼굴을 붉히고 다소곳이 머리 숙인 다
알리아꽃
·부끄러움을 가득 안은 아카시아꽃
·갈가에서 가는 목들을 갸우뚱거리며 웃는 코스모스
·아침 이슬을 머금고 나팔꽃이 방긋 웃고 있다.
·꽃이 방긋 웃고, 버들이 손짓한다.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4. 활유법(活喩法)
생명 없는 것을 생명이 있는 것처럼 비유하는 법.
·소리 지르며 달리는 냇물
·숨이 차 헐떡이면서 비단길을 기어오르는 증기 기관차
·청산(靑山)이 훨훨 깃을 친다.
·파도가 울부짖는다.
·들이 가슴을 열었다.
5. 의태법(擬態法)
사물의 모양과 짓을 그대로 시늉하여 표현하는 법.
의태어(擬態語)를 쓴다. 〓 시자법(示姿法)
·말랑말랑한 손
·매끈매끈한 살결
·아기가 아장아장 걷는다.
·저기 가는 저 영감 꼬부랑 영감, 어물어물 하다가는 큰일 납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
·해는 뉘엿뉘엿 지고……
·확 풍겨 오는 향기……
·토실토실한 손등
·노루가 껑충껑충 뛰어 달아난다.
6. 의성법(擬聲法)
자연계의 소리, 인간 또는 동물의 소리를 그대로 본떠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법.
·학교 종이 땡땡 친다.
·멍멍 개야 짖지 말고, 꼬꼬 닭아 울지 마라.
·찌르릉찌르릉 비켜나세요.
·"만세! 만세! 대한 민국 만세!"
·뻐꾹새 뻐꾹, 까마귀 꼴깍, 비둘기 꾹꾹
·흐흐히 히애애, 도깨비가 나타날 것만 같다.
·바람이 윙윙 부는 밤
·가지 부러지는 소리가 우지끈뚝딱하고 났다.
7. 풍유법(諷喩法)
원관념을 완전히 숨기고, 비유하는 보조 관념만 나타내되, 교훈적·풍자적이어야 한다.
속담은 모두 여기에 속한다. 엉뚱한 말 속에 참뜻을 담아 본뜻을 추측하게 한다. 〓우유법(寓喩法)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못나 보인다고 업신여기면 안된다.
·산에 가야 범을 잡는다.
→ 큰일을 하려면 어려움을 무릅써야 한다.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
→ 일엔 뜻이 없고 분량만 재려 한다.
·꿀 먹은 벙어리요, 침 먹은 지네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이야기 전체가 풍유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 <이솝 이야기> <흥부전>
8. 대유법(代喩法)
(1) 제유법(提喩法) : 한 부분을 가지고 그 사물 전체를
나타내는 법
·빵만으론 살 수 없다 : 빵 → 식량, 식생활
·사육신 : 성삼문, 박팽년, 유응부,
이 개, 하위지, 유성원
·무슨 약주 드셨습니까? : 약주 → 모든 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들 → 조국
(2) 환유법(換喩法) : 하나의 사물을 다른 명칭을 들어 비유하는 법
·별 → 장군
·강태공 → 낚시꾼
·태극기(한국)가 일장기(일본)를 눌렀다.
·무궁화 삼천리 → 대한 민국
·바지 저고리 → 촌사람
·밤 손님 → 도둑
·상아탑 → 대학교
9. 중의법(重義法)
한 말에 두 가지 이상의 뜻을 포함시켜 표현하는 법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왜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벽계수 → 시냇물, 사람 이름
명월 → 달, 황진이
10. 상징법(象徵法)
비유이면서도 좀처럼 원관념을 찾아내기 힘든 표현. 추상적인 것(무형)을 구체적 사물(유형)로 암시하는 법
·십자가 → 희생 ·비둘기 → 평화
·낙락장송 → 절개 ·매화 → 우국 지사
* 은유법은 원관념, 보조 관념이 다 표현되지만, 상징법은 보조 관념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미인을 표현하는 데도 여러 방법이 있다.
·그녀는 꽃 같이 아름답다. (직유)
·순이는 한떨기 백합꽃이다. (은유)
·그녀가 들어오니, 방 안이 꽃밭이 된다. (상징)
<Ⅱ> 강조법(强調法)
문장의 인상을 강하게 만드는 표현법. 감정보다는 의미상의 강조가 주가 되는 방식이다.
1. 과장법(誇張法)
실제보다 훨씬 크게 또는 작게 표현하는 법.
·하늘에 닿은 수풀 ·밴댕이만한 소갈머리
·간이 콩알 만해졌다. ·눈물의 홍수
·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 ·쥐꼬리만한 월급
·하루를 천추(千秋)같이 기다린다.(一日如三秋)
(직유, 과장)
·백발 삼천 척 ·주먹만한 대추(직유, 과장)
·바늘 귀만한 소견(직유, 과장)
·낙타가 바늘 구멍에 들어가는 만큼이나 힘들다.
·간에 기별도 안 간다.
·하늘을 찌르는 높은 산
·노도(怒濤) 같은 진격
* 말만한 개(과장) ― 늑대만한 개(보통 표현)
2. 영탄법( 嘆法)
기쁨, 슬픔, 놀라움, 무서움 따위의 감정을 높이는 방법.
감탄사, 감탄형 어미를 주로 쓰지만, 때로는 의문형을 쓰기도 한다.
·아 ! 아름다운 하늘이여 !
·오, 이거 얼마만인가 ?
·어즈버, 태평 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이렇게도 간절함이여 !
·슬프다, 붓을 놓고 통곡하고 싶구나 !
·어이할꺼나, 나는 사랑을 가졌어라 !
·저주받은 인생이여 !
·그리움마저 얼어붙은 가슴인가?
·그리움으로 여기 섰노라 !
3. 반복법(反復法)
같거나 비슷한 말을 되풀이하여 강조하는 법.
·하늘은, 머얼리서 오는 하늘은……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멀고 먼 나라 ·깊고 깊은 바다
·자자 손손 ·우불탕 구불탕한 길
·솟아라, 고운 해야 솟아라.
·문 열어라, 문 열어라, 정 도령님아.
·쉬어 가자, 벗이여, 쉬어서 가자.
·눈물로 적시고 또 적시어도.
4. 점층법(漸層法)
어구(語句)의 의미를 점차로 강하게, 크게, 깊게, 높게 함으로써 그 뜻이나 가락을 절정으로 끌어올리는 방법.
·내 이웃에서 시작하여 내 마을, 내 고장, 내 나라, 아니 세계로 뻗어 나가야 한다.
·가족은 사회에, 국가에 대한 의무가 있습니다.
·한 사람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열 사람을 당한다. 열은 백을 당하고, 백은 천을 당하며, 천은 만 을 당하리라.
5. 점강법(漸降法)
뜻을 점차로 여리게, 작게, 얕게, 낮게 벌여 나가는 법.
·책보만한 해가 손바닥만해졌다.
·만 원이 안 되면 천 원이라도, 천 원이 안 되면 백 원, 그것도 안 되면 십 원도 좋다.
6. 대조법(對照法)
서로 상반되는 사물을 맞세워 그 중 하나를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법. 한 구절의 말뿐 아니라, 한 작품 전체에도 쓰일 수 있다.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조상 탓
·앉아 주고, 서서 받는다.
·얕은 내도 깊게 건너라.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여자는 약하나, 어머니는 강하다.
·강물이 푸르니 새 더욱 희고, 산이 퍼러니 꽃빛이
불붙는 듯하도다.
* 선(善)과 악(惡), 미(美)와 추(醜), 충(忠)과 간(奸)
→ 작품 전체
7. 미화법(美化法)
좀 과장되게, 아름답게 표현하는 법.
·이슬은 가을 예술의 주옥편(珠玉篇)이다.
·화장실(化粧室) ← 변소
·거리의 천사 ← 거지
·부처님 가운데 토막 ← 착한 사람
·양상 군자(梁上君子) ← 도둑
·꽃마음 ← 아름다운 마음
8. 열거법(列擧法)
비슷한 말귀나 내용적으로 관계 있는 말귀를 늘어놓는 법.
·유적(遺蹟)의 도시, 역사의 도시, 명승의 도시……
·푸른 하늘과 바다와 들과 산.
·이것들은 그가 자라난 흙과, 하늘과, 기후를 말하지 않는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9. 억양법(抑揚法)
우선 누르고 추켜 주거나, 추켜 세운 후 눌러 버리는 법
·얼굴은 곱지만, 마음씨가 고약하다.
·그는 마음은 좋지만, 행실이 나쁘다.
·그는 좀 모자라지만, 사람은 착하다.
* 일종의 대조법(對照法)이라 할 수 있다.
10. 현재법(現在法)
과거나 미래형으로 쓸 말을 현재형으로 나타내는 법.
·검찰, 깡패 소탕에 나서다.
·1919년 3월 1일, 삼일운동 일어나다.
·이 도령은 춘향 앞에 섰다. 춘향은 얼굴을 붉히고
돌아선다.
·머리 딴 계집애가 이리저리 옮아 다니며 주물렀다.
그리고는 깩깩 소리를 지르며 엄살을 한다.……비위
가 거슬려 돌아누웠다.
11. 비교법(比較法)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이나 개념의 비슷한 것을 비교시키는 법.
·여름 바다도 좋지만, 가을 단풍이 더 좋다.
·달이 쟁반보다도 크다.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 같은 말의 되풀이는 반복법, 비슷한 말을 늘어놓으면 열거법, 앞 말의 꼬리를 따면 연쇄법, 정반대의 뜻을 가 진 말을 맞세우면 대조법, 비슷한 것을 비교시키면 비교 법이 된다.
12. 연쇄법(連鎖法)
앞 말의 꼬리를 따서 그 다음 말의 머리에 놓아 표현하는법
·고향, 고향은 가을의 동화를 들려 준다.
·고인(故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뵈어도 녀던 길 앞에 있네.
녀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녀고 어떨꼬.
13. 명령법(命令法)
격한 감정으로 명령하는 법. 일부러 명령하는 형식으로 나타내는 법이다.
·꼭 이기고 돌아오라 ! 조국의 명예를 걸고 건투하라 !
·젊은이여, 기회는 한번뿐, 놓치지 말라.
·힘차게 약동하라.
14. 돈강법(頓降法)
절정에서 갑자기 속도를 뚝 떨어지게 하는 법,
·단편소설의 대단원 처리
<Ⅲ> 변화법(變化法)
단조로운 문장에 변화를 주어 주의를 높이려는 법.
1. 도치법(倒置法)
문법상, 논리상으로 순서를 바꿔 놓는 법.
·가자, 나를 부르는 고향으로.
·그는 머뭇거렸다, 처음으로.
·나는 생각해 보았다, 내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가오리다, 임께서 부르시면.
·"바보야, 넌 !"
·"뭐라 하느냐, 남의 앞에서……"
2. 인용법(引用法)
남의 말이나 격언, 명언을 따다가 인용하는 법.
(1) 직접 인용(明引法)
따옴표 등의 표시로 선명히 인용이 드러나는 법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라는 말이 있다.
·선생님께서 "숙제를 게을리하는 학생에게는 꼭 벌을 주겠다"고 말씀하셨다.
·"구하라 주실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열릴 것이다"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셨으니 어찌 나아가 구하지 않
을 것이랴.
(2) 간접 인용(暗引法)
따옴표 등이 없이 문장 속에 숨어 있게 표현하는 법.
·아버지께서는 늘 게으른 사람은 꼭 고생을 하게
마련이라고 말씀하신다.
·등하불명(燈下不明)이라더니, 네 뒷집에서 일어난
일을 몰라?
* 인용법에는 반드시 " " 또는 ' ' 또는 …라 고, …하고, …고 등의 조사가 들어가게 마련이다.
3. 설의법(設疑法)
서술로 해도 좋은 것을 의문형으로 나타내는 법. 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 치의 국토라도 외적에게 빼앗길 수 있겠는가?
·이래도 거리에 사람이 없다 하겠느냐?
·저런 사람도 애국자라 할 수 있겠는가?
4. 대구법(對句法)
가락이 비슷한 글귀를 짝지어 나란히 놓아 흥취를 높이려는 법.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지혜 있는 자는 생각하고, 의로운 자는 행하고 어진자는 지킨다.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려라.
* 대조법은 뜻이나 내용이 대조(반대)를 이루는 데 반해 대구법은 내용은 같건 말건 가락이 비슷한 점만을 노리는 것이다.
5. 경구법(警句法)
기발한 글귀를 씀으로써 자극을 주는 법. 이가발한 말 속에는 진리가 담겨 있어야 한다. 속담, 격언 등은 이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웅변은 은이고, 침묵은 금이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방귀 뀐 놈이 성 낸다(賊反荷杖)
·아이 자라 어른 된다.
(아이라고 너무 욱박지르지 말라)
·낮 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모름을 모른다고 함이 참으로 앎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
* 의미상으로는 경구법에 해당하는 것이 표현 양식으로
는 풍유법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6. 반어법(反語法)
표면의 말과는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법.
·너 오늘 또 칭찬 받을 일을 했더구나.
← 꾸중 들을 짓을 하다
·그놈 참 얄밉게도 생겼다. ← 예쁘다
·규칙도 모르는 사람이 심판을 했으니, 판정이 오죽이나 공정했겠소? ← 공정치 못했다.
·과연 날씨가 좋군요. ← 눈보라 치는 날
·어쩌면 마음씨도 그리 비단결 같은지(심술꾼에게)
·나 말이야, 미칠 정도로 행복해서 그래. ← 비참함
·무식한 제가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
← 다 알고 있다.
* 반어법에는 풍자가 있다.
·그 우람하신 허리 하며, 굉장한 미인이시던걸.
·무식한 제가 어떻게 알겠습니까?
7. 역설법(逆說法)
얼핏 보기에는 이치에 어긋난 것처럼 보이면서도 그 속에 진리가 담겨 있게 표현하는 법.
·극과 극은 서로 통한다.
·만세 불렀다. ← 모든 게 실패로 끝났다.
·손님 들었다. ← 도둑 들었다.
8. 문답법(問答法)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하는 형식.
·그러면 학생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앞으로 사회에 나아갈 준비를 하는 사람입니다.
·왜 왔는가? 이야기 하기 위해 왔다.
9. 비약법(飛躍法)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던 글을 갑자기 엉뚱한 방향으로 바꾸거나, 하던 이야기를 갑자기 중단하는 법,
·보기도 싫다는 듯이 돌아 앉아서 빈정대고 고집만 부리
던 아버지, 갑자기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천천히 방으로 들어가며,
"여보 ! 손님이 오셨는데 밖에 세워 두는 법이 어디 있소? 건넌방으로 모시고, 고구마나 삶아요."(비약)
·인생이란 따지고 보면 다 그런 걸세. 이제 그만 가세."
(중단)
10. 생략법(省略法)
어떤 말이 없어도 뜻의 내용이 오히려 간결해져서 함축과 여운을 지니게 하는 법.
'……'로 된 것도 생략법의 일종이다.
·모든 것을 잊고 싶어졌다고……
·나래에 가을을 싣고 맴돌다 문득 고향.
('생각이 난다'를 줄임)
·"아버지, 나 돈.('좀 줘요'를 줄임)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문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0) | 2012.02.16 |
---|---|
시는 감춤의 미학 (0) | 2012.02.16 |
꿈꾸는 시. 혹은 언어의 마력 (0) | 2012.02.16 |
대중적인 인기 시들의 헛점 (0) | 2012.02.16 |
문학특강 (시) (0) | 201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