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안중근 의사 해외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 1일차(대련. 여순)

아리박 2018. 4. 29. 12:32

안중근 의사 해외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 1일차 중국 여순

 

안중근 아카데미에서 실시하는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 현장 사진을 올립니

먼저 첫 날 답사를 시작하면서 이 나라를 지켜낸 안중근 의사에게 너무나 미안하고 죄송하다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역에 조선 침략의 전범이며 동양 평화를 해친 일본의 총리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고 당당하게 "대한독립 만세"를 외친 안중근은 나이 30세의 젊은 청년이었다. 이 의거를 제국주의 일본에 대한 동양에서 일어난 항일 운동의 시작이라고 중국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목숨을 바쳐 지켜낸 조국이 지금까지 안의사에게 해 드린 것이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자신이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지 역사적 근원을 알지 못하고 그저 눈 앞에 보여지는 현실에만 의존하여 살아 간다면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들에게 슬픈 일이다

안의사의 의거가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 한 일이겠는가! 

이번 답사에서 안의사의 독립운동 현장을 살펴 보고 마지막 목숨을 다 하신 감옥에서 안의사의 영혼으로 이입하여 조국을 다시 보는 계기로 삼고자 이번 답사를 떠난다

한 가지 더 아직 안의사의 시신조차 찾아내지 못해 광복된 이 땅에 모셔 오지 못하고 있는 후손으로서 부끄럽기 짝이 없다

 

남간정사에 "恥"(부끄러울 치)자를 크게 써 놓고 후학을 가르치셨던 우암 송시열 선생의 역사에 대한 각성의 죽비소리가 크게 들린다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여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 상태의 기록이며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 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라 하면 조선 민족의 그리 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니라.

 

우리가 어떻게 마음 먹고 어떻게 행동하는가

그것은 부릅 뜬 역사 앞에 그대로 기록될 것이다.

 

 

 

 

답사팀의 첫 날의 여정은 이렇게 진행되었다

 

인천공항에서 대련(다렌)으로

여순(뤠순) 감옥

일제 관동 도독부 법원

여순 박물관

203고지 동계관산 러시아 일본 격전지

백옥산탑

 

 

   화려한 네온이 조국의 현재를 상징으로 보여주는 인천국제공항

 

  인천 공항의 비상 지붕

 

  중국 대련공항. 여순을 가기 위해서 대련 공항을 이용한다

 

 

 

  이주화 안중근 기념관 과장. 인솔자로서 내내 안내와 해설까지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중국 오성기가 관청임을 알린다

 

   대련은 어마어마하게 성장하고 있다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 중국은 현재 건설 중.

 

  이제 벚꽃이 피고 있음을 알수 있다. 서울보다 10일정도 늦은 것 같다

 

 

 

  대련에서 여순가는 길

 

 

 

  개나리도 이제 피고

 

 

 

  대련에서 여순으로 오가는 역사 길.

 

 

 

 

 

   남만주 철도. 이 남만 철도를 빼앗기 위해 이토 히로부미는 하얼빈에 왔다

 

  무심하게 놓여 있는 남만 철도. 이 철길을 이용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를 여순 감옥으로 이송하였다

 

 

 

 

 

   여순 감옥. 현재는 사적지로 관리되고 있다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의거를 일으키고 이곳으로 잡혀와 144일동안 수감되어 마지막 형을 집행 받은 감옥이다

 

  여순 일러 감옥 구지

 

   해설을 듣는 답사단

 

  부관장 인사

 

  부관장 설명

 

 

  부관장과 통역

 

  답사단 일행. 중국 여순 감옥과 서울 안중근 기념관. 서대문 형무소는 서로 결연 기관으로 되어 있다

 

  감옥. 러시아가 지은 감옥과 일본이 확장한 감옥이 서로 다르다

 

 

  붉은 벽돌이 일제가 증축

 

 

 

  국가급 보존 문화재로 지정

 

   수차레 증축된 감옥

 

 

 

  큰 大자 건물

 

 

 

  숙연해지다

 

 

 

 

 

 

 

 

 

 

 

  검신실 입구. 옷을 벗고 뛰어 넘어가야 한다고. 몸에 숨길 수 없게..

 

 

 

  수의. 청의와 적의

 

 

 

 

  감방

 

 

 

 

 

 

 

 

 

                                      수감 중국 항일운동가의 옥중 시초

 

 

 

 

 

  안중근 의사가 수감되었던 감옥. 간수실 바로 옆 감옥. 특별 감시

 

 

 

 

 

  안중근 의사는 특별하게 관리되었던 것 같다. 안응칠 역사. 동양 평화론을 펴낼 수 있도록...

 

   저 책상에서 안중근 의사는 유묵 작품을 쓰셨다

 

 

 

 

 

 

 

 

 

 

 

 

 

 

 

  용모

 

 

 

  일제 비밀문서 소각

 

  쇠사슬

 

 

 

 

 

   수형 실적에 따라 밥의 양을 6등급으로 정해 급식했다

 

 

 

 

 

 

 

  일제는 인간으로 할 수 없는 폐륜을 저질렀다

 

 

 

 

 

 

 

 

 

  간수대

 

 

 

  이랫층을 감사할 수 있는 감시철창

 

 

 

 

 

                                      교회실

 

 

 

 

 

 

 

 

 

 

 

 

 

 

 

  수형자들을 전쟁 물자 제조에 동원

 

 

 

  감옥 높은 담

 

 

 

 

 

 

 

 

 

 

 

                                     사형장 앞에서 슬픈 고목을 보고 있는 답사팀

 

 

 

 

                          증언과 회고

 

 

 

 

 

 

 

 

 

 

 

 

 

   감방

 

 

 

  사형장

 

 

 

 

 

 

 

 

 

                                     이 형장의 낙엽으로 떨어져간 원한을 어떻게 위로하리..

 

 

 

 

 

 

 

  사형수 대기실

 

  사형수 대기실에서 서 본 가장 절절한 시간

 

 

 

   안중근 의사 사형 집행장. 아~  31세의 나이로..

 

 

 

 

 

  추모 묵념을 올리고.

 

 

 

 

 

 

 

 

 

 

 

 

 

 

 

 

 

  명사들의 안중근 의사 평가

 

 

 

 

 

 

 

 

 

 

 

 

 

 

 

 

 

  여순 감옥 앞에서

 

   박병환 전 러시아 공사

 

  현지 가이드와 함께

 

 

 

여순 감옥 방문을 마치고

 

  이 먹먹함에도 점심을 먹어야 했다 

 

 

 

점심을 마치고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유언이었던 "내 시신을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뒀다가 조국이 광복되거든 반장해다오"라는 유언을 아직 지키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안의사의 시신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제는 시신 반환을 요구하는 유족의 뜻을 져버리고 감옥 공동 묘지에 매장하였다. 그 기록이 분명치 아니하여 아직 안의사의 시신을 찾지도 못하는 후손이 지금 우리이다

현장에 가 보니 아파트가 공동묘지를 이미 점하여 개발되었고 계속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서 훼손되었거나 언제 훼손될지 알 수 없는 지경이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제일의 독립투사를 이렇게 방치해 두고 있는 현실이 부끄럽기만하다

 

 

 

 

 

  여순 감옥 공동 묘지. 이 공동묘지 어딘가에 안중근 의사가 불편하게 잠들어 계신다

 

 

  허탈해 하는 답사단

 

  공동묘지 안길을 걸어 보고..

 

  부지기수로 있는 봉분들

 

  우거져있는 수풀..

 

  봄이면 안의사의 눈물이 저 꽃으로 피는 것은 아닌지.

 

 

 

 

 

  이 자리에 있던 공동묘지터 안내표시가 옮겨져 있었다

 

 

 

 

 

 

 

  여순 감옥 구지 묘지. 표시가 옮겨져 있다

 

 

 

 

 

안중근 의사 유해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순 감옥 묘지

 

 

 

안중근 의사가 재판을 받았던 재판소가 있던 자리에는 병원이 자리하고 있다

 

  관동지역 일제 법원 구지. 병원으로 변해 있다

 

 

  여순 일본 관동 법원 구지

 

 

 

 

 

 

 

 

 

 

 

 

 

 

 

 

 

 

 

 

 

 

 

 

 

 

 

  재판정. 필자가 앉은 자리에 안중근 의사. 우덕순. 조도선

 

 

 

 

 

 

 

  신채호 선생도 이 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여순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안중근 의사는 6차의 공판을 받고 사형을 언도 받았다

 

  주은래. 청일 전쟁 이후 중국 한국 양국 국민의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반대 투쟁은 금세기초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할 때부터 시작되었다

 

 

 

 

 

 

 

 

 

 

  안중근 의사를 호송했던 마차

 

 

 

                                       고문 기구들

 

 

 

 

 

 

 

 

 

 

 

 

 

 

 

 

 

 

 

 

 

 

 

 

 

 

 

 

 

 

 

 

 

  무심한 꽃은 피고 진다

 

 

 

 

 

 

 

 

 

 

 

 

여순 박물관에는 일제가 문화제 약탈을 감행하려 했던 보물들을 미처 반출하지 못한 문화제를 전시하고 있다

 

  여순 박물관. 일제가 강탈하여 반출하려던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다

 

 

  진자 훌륭한 도자기

 

 

 

 

 

 

 

   향유병

 

 

 

  불탑

 

 

 

 

 

 

 

 

 

 

 

 

 

 

 

 

 

 

 

 

 

 

 

 

 

                                       동종 . 시주자는 기황후

 

 

 

 

 

 

 

 

 

  청동 기

 

 

 

 

 

 

 

 

 

 

 

 

 

 

 

 

 

 

 

 

 

 

 

 

 

 

 

 

 

 

 

 

 

 

 

 

 

 

 

 

 

 

 

 

 

 

 

 

 

 

 

 

 

 

 

 

 

 

 

 

 

 

 

 

 

 

 

 

 

 

 

 

 

 

 

 

 

 

 

 

 

 

 

 

 

 

 

  청동 벼루

 

 

 

 

 

 

 

 

 

 

 

 

 

 

 

 

 

 

 

 

 

 

 

 

 

 

 

 

 

 

 

 

 

 

 

 

 

 

 

 

 

 

 

 

 

 

 

 

 

 

 

중국 도자기의 정수

 

 

 

 

 

 

 

 

 

 

 

 

 

 

 

 

 

 

 

 

 

붓과 필좌

 

 

 

 

 

 

 

 

 

 

 

 

 

향유병

 

 

 

여순 박물관 신관

 

대포

 

 

 

 

 

 

여순의 낮달

 

 

 

 

 

 

 

 

 

 

 

 

일제 관동도독부 건물

 

 

 

 

 

 

 

 

 

백옥산탑

 

 

 

 

 

 

 

 

 

 

 

 

 

 

 

 

 

백옥산탑

 

 

문미경 선생님. 윤신아 학예사님.박주 교수님. 이미금 선생님

 

 

 

 

 

 

 

 

 

윤신아 학예사

 

 

 

 

 

도심 로터리

 

 

 

 

 

 

 

 

 

 

 

 

203고지. 동계관산

 

 

 

 

 

 

 

 

 

 

 

 

 

 

 

 

 

 

 

 

 

 

 

 

폭파 동굴 잔해가 여인상으로 보인다

 

 

 

 

 

 

 

 

 

 

 

 

 

 

 

 

 

 

 

 

 

 

 

 

 

 

 

 

 

 

 

 

 

 

화라고 쓴 수목

 

평이라고 쓴 수목.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한다걸 보여 주고 있다

 

 

 

 

      - 다음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