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스크랩] 고종이 즐겼고 헐버트가 채보한 아리랑

아리박 2009. 10. 20. 09:32

고종이 즐겼고 헐버트가 채보한 아리랑

[음반평] “쌀의 노래 아리랑”, 신나라

 

 

 

“아라렁 아라렁 아라리요

 

아라렁 얼싸 배띄어라

문경새재 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나간다

문경새재 박달나무

빨래 방망이로 다나간다”

 

위 노래는 고종이 즐겼고 H.B 헐버트가 채보한 아리랑인 “아르렁”의 가사이다.

 

아리랑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혁명가 김산은 말한다. "조선에 민요가 하나 있다. 그것은 고통받는 민중들의 뜨거운 가슴에서 우러나온 아름다운 옛 노래다. 심금을 울려 주는 아름다운 선율에는 슬픔이 담겨 있듯이, 이것도 슬픈 노래다. 조선이                   ▲ "쌀의 아리랑" 음반 표지  © 신나라

그렇게 오랫동안 비극적이었듯이 이 노래도

비극적이기 때문이다. 아름답고 비극적이기

때문에 이 노래는 오랫동안 모든 조선 사람들에게 애창됐다."

 

(사)한민족아리랑연합회 김연갑 상임이사는 “민족사 속에서 고난을 함께 한 노래, 남과 북은 물론 134개국 동포사회가 공인 한 ‘민족의 노래’ 3, 1운동 기간 시위를 지속하게 한 요소는 선언서, 깃발(태극기), 노래(애국가·아리랑·교가 등)가 역할을 했다. 아리랑도 그런 노래의 하나였다.”라고 말한다.

 

아리랑은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불러온 노래였지만 문헌에 나타나는 최초의 악보는 1896년 외국선교사가 발행한 잡지 <korean repository> 가운데 <korean vocal music>이란 논문 가운데 h.b. 헐버트가 채보, 수록한 것이다.

 

헐버트가 채록한 아리랑 악보는 대한제국 말기의 시인 ·학자 ·우국지사인 황현이 쓴 ≪매천야록≫에 고종이 즐겼다고 기록한 아리랑이며 나운규가 1914년 고향 청진에서 듣고 영화의 주제로 삼은 그 역사적인 아리랑이라고 한다. 또 경북 문경의 <문경새재아리랑>을 바탕으로 경복궁 중수 공사에 참여했던 유랑연예패(창우)에 의해 새롭게 불린 아리랑이다.

 

이 최초의 악보를 헐버트의 해설과 함께 명창 김영임이 노래로 재현하고, 아리랑연구가 김연갑이 낭송했으며, 성우 이선이 영문으로 낭송한 것을 녹음하여 신나라(회장 김기순)에서 음반으로 내놨다. 음반 발매는 헐버트의 한국 독립운동을 알리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위 논문에서 헐버트는 “한국인에게 아리랑은 쌀과 같은 존재”라고 했고, 즉흥곡의 명수라며 워즈워드, 바이런 못지않은 시인들이라고도 했다.

 

이렇게 아리랑을 극찬한 헐버트는 고종의 외교 고문이었다. 그는 1905년 일제가 을사늑약을 체결하여 침략하자 이를 온 세계에 알리려고 고종의 밀서를 헤이그 평화회의를 거처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전했으나 일본의 방해로 성사되지 못했다. 이후 일제의 추방으로 조선에 들어오지 못했고, 1949년 한국정부의 초청을 받고 방한했으나 병으로 청량리 위생 병원에서 87세로 세상을 떴다.

 

헐버트는 “나는 윈스터민트 사원에 묻히기보다는 한국에 묻히고 싶다.”라는 유언으로 서울 양화진 외인묘지에 잠들어 있다. 언론인 김을한은 『여기 참 사람이 있다』(1960, 신태양사, 130쪽)라는 책에서 ‘한국의 은인’이라고 표현했다.

 

헐버트는 《THE PASSING OF KOREA(소멸되는 한국)》· THE HISTORY OF KOREA(대한제국사)》·《 KOREA AND DRAVIDIAN(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연구)》등의 책을 펴냈다. 특히 《THE PASSING OF KOREA(소멸되는 한국)》에는 그의 한국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겨있는데 다음과 같은 헌사에 잘 드러나 있다.

 

“비방(誹謗)이 그 극에 이르고 정의가 점차 사라지는 때에 나의 지극한 존경의 표시와 변함없는 충성의 맹세로서 대한제국의 황제 폐하에게, 그리고 지금은 자신의 역사가 그 종말을 고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있지만 장차 이 민족의 정기가 어둠에서 깨어나면 그것이 죽음 그 자체는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게 될 대한제국의 국민에게 이 책을 드립니다.”

 

 

▲ 아리랑을 채보한 H.B 헐버트     © 신나라

 

 

이 음반에는 먼저 H.B 헐버트가 채보(1896)하고 실버악단이 연주한 <아르랑 A-RE-RUNG>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경기민요의 별 김영임 명창이 문경아리랑을 부르고, 한국의 노래, ‘종달새의 노래’와 ‘아리랑은 쌀’이다, 조선인은 ‘바이런과 워즈 워드’ 등의 논문을 이선의 원문 낭독과 김연갑의 번역문 낭독으로 들려준다.

 

그 가운데 “아리랑은 쌀이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The first and most conspicuous of this class is that popular ditty of seven hundred and eighty-two verses, more or less, which goes under the euphonious title of A-ra-rung. To the average Korean this one song holds the same place in music that rice does in his food? all else is mere appendage. You here it everywhere and at all times. It stands in the same relation to the Korean of to-day that “Ta-ra-ra boom-di-ay” did to us some five years ago. But the furore not being so great, the run is longer.“

 

“우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듣기 쉬운 ‘아리랑’이라는 노래다. 대략 782연으로 이루어진 소곡인데, 한국인에게 이 노래는 마치 그들의 생활에서 쌀이 차지하는 것과 같은 비중이다. 다른 노래들은 드물게 불리는 편이다. 그래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 아리랑을 들을 수 있다. 오늘날의 한국인에게 이 노래는 마치 십수 년 전 <Ta-ra-ra boom-di-ay>라는 노래가 미국에서 유행했던 것과 비교될 만하다. 그러나 격정적으로 유행을 타지는 않지만 오래도록 불릴 노래다.”

 

그 밖에 김영임이 H.B 헐버트 채보(1896)의 아르렁, 《우편호우치신문》수록(1894)의 인천아리랑, 이상준 채보(1914)의 아르랑타령, 영화<아리랑>주제가(1926) 본조아리랑를 부른다.

 

마지막에는 김영임이 재현 아리랑에 대한 느낌을 다음과 같이 말해준다. “헐버트의 아리랑은 때가 묻지 않아 소박하면서도 가장 서민적인 아리랑이란 느낌을 받았다. 어린 아이부터 100살의 노인까지 쉽게 따라부를 수 있는 노래이다. 그래서 이렇게 아리랑을 채보해준 그분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그분의 생각을 그대로 담아 부르려 애썼다.”

 

김연갑은 “H. B. 헐버트는 ‘아리랑은 한국인에게 쌀이다.’라며 주식으로서 중요한 식량인 쌀을 아리랑에 비유했다. H. B. 헐버트의 지극한 예찬이 아닐 수 없다. 이는 ‘아리랑은 한국인의 진언(眞言, 참된 말)’이라고 한 직지사 방장 관응스님의 설법이나 ‘아리랑은 고난의 꽃’이라고 한 시인 고은의 지론에 못지않은 것이다. 헐버트의 채록은 우리나라에서, 우리 음악을 서양 오선보로 채록한, 그래서 재현 가능한 기록으로 최초가 된다는 점에서 돋보인다.”라고 말한다.

 

음반을 들으면서 나는 가슴 찡한 느낌을 받았다. 아니 한민족이면 모두가 그런 느낌을 받지 않을까? 많은 이가 아리랑을 우리 겨레의 노래라고 인정한다. 하지만, 아직 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런 상황에서 김연갑, 김영임 씨의 노력과 신나라의 투자가 맞물려 만든 이 “쌀의 노래 아리랑”이야말로 한민족이라면 한 번쯤은 듣고 가슴에 새겨야 할 음반이 아닐까?

 

 

출처 :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글쓴이 : 김영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