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혼례절차를 오렸습니다. 서양식 혼례와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어떤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한번 읽어보고. 혼인의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한번 생각 해보면 어떨까요?
|
1) 주육례(周六禮) 우리가 혼인하는 것을 "육례를 갖춘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일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육례라 하면 으레 지금부터 약 3천년 전 중국 주(周)나라 때의 혼인절차라 이해한다. ◎ 납채(納采):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아내삼고자 한다는 뜻을 전하는 것이다. 2) 주자사례(朱子四禮) 지금부터 약 8백년 전 중국 송(宋)나라의 학자 주자(朱熹)가 주나라의 육례와 그 시대에 이미 변하여진 시속의 예를 참작하여 네가지로 축소한 혼례의 절차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혼례이다. ◎ 의혼(議婚):남자측과 여자측이 혼인할 것을 의논하는 절차이다. 3) 우리 나라의 전통혼인례(傳統婚姻禮) 혼인례가 네가지로 된 주자가례를 숭상하면서도 우리는 "육례를 갖춘다"고 말했는데 그것은 우리의 전통관습에 2. 우리 나라의 전통혼인례 절차 [위로] 1) 혼인의 조건 ① 혼인할 남자는 동성동본(同姓同本)이 아니어야 한다 ② 남자 18세, 여자 16세 이상이어야 한다 ③ 근친의 상중(喪中)이어서는 안 된다 2) 사주(四柱) ① 남자의 생년·생월·생일·생시를 네 기둥이라는 뜻으로 사주라 한다. 옛날에는 네 기둥을 간지(干支)로 두 자씩
납채를 하여 정혼했으니까 혼인 날짜를 정해야 할 것이다. 혼인 날짜를 정하는 택일(擇日)은 혼인 준비의 복잡함이나 생리현상 등으로 인하여 여자측에서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여자측에서 택일해 남자측에 보내는 절차를 납기라 한다. 4) 택일(擇日) ① 옛날에는 기러기를 올린다는 뜻인 전안(奠雁)을 하는 시기를 간지(干支)로 썼었으나 현대는 혼인 일시를
① 납폐그릇인 함에 넣는 예물은 신부의 옷감으로 하는데, 그것을 채단(綵緞)이라 한다. 채단은 청단과 홍단으로
① 남자측 어른이 상대방 여자측 어른에게 예물을 보낸다는 취지의 편지를 쓰는데, 이것을 납폐서라고 하며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유익한 생활정보 (0) | 2009.08.04 |
---|---|
[스크랩] 8체질별 인간사와 각 체질의 정신병 (1) | 2009.08.04 |
[스크랩] 이럴땐 이걸 드십시요 (0) | 2009.08.04 |
[스크랩] 일상생활에서 걱정을 버리는 방법 (0) | 2009.08.04 |
[스크랩] 멋지게 사는 10가지 비결 (0) | 2009.08.04 |